루키우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우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는 이탈리아 시골 출신의 평민으로, 아들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아버지이다. 사회 전쟁 이후 로마 시민권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사 계급 출신이었을 수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고대 작가들은 그의 미천한 조상에 대해 언급했지만, 아들 마르쿠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카인 옥타비우스와 가까이 지내며 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점을 근거로 어느 정도 재산이 있는 집안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 결혼하여 마르쿠스, 폴라, 그리고 또 다른 아들을 두었으며, 마르쿠스의 후손을 통해 칼리굴라, 아그리피나, 네로 등의 로마 황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세기 로마인 - 아우구스투스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로서 권력을 계승하여 내전과 암투 끝에 로마의 초대 황제가 되었고, 공화정 형식을 유지하며 팍스 로마나 시대를 열고 행정 및 세제 개혁을 통해 로마 제국의 기틀을 다졌다. - 기원전 1세기 로마인 -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인물이며,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 고대 로마의 정치인 -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로마 공화정 후기의 부와 권력을 가진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술라 내전 참여와 화재 사업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스파르타쿠스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제1차 삼두정치에 참여 후 파르티아 원정에서 사망했다. - 고대 로마의 정치인 - 그라쿠스 형제
그라쿠스 형제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에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해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암살당했으며, 로마 공화정 붕괴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루키우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알려진 이유 |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아버지 |
가족 관계 | |
자녀 | 루키우스 빕사니우스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빕사니아 폴라 |
2. 가문 배경 및 초기 생애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아들 마르쿠스를 기리는 비문에 그의 혈통이 나타나는 것뿐이다.[22] 대 세네카는 마르쿠스가 아버지의 낮은 신분 때문에 종종 자신의 이름에서 "빕사니우스"를 생략했다고 언급하며 루키우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소 세네카는 루키우스를 크세노폰의 아버지 크릴루스와 플라톤의 아버지 아리스토와 비교하며, 아들들의 업적 때문에 영원히 기억된다고 하였다. 세네카는 심지어 마르쿠스의 성공 이후에도 루키우스가 여전히 잊혀진 존재로 남아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다.[4][5]
몇몇 역사가들은 루키우스를 대 세네카가 페르가몬의 아폴로도로스의 제자로 언급한 웅변가 빕사니우스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7] 그러나 이 이론은 폼포니우스의 코그노멘(cognomen)이 세습된 것이 아니라 아티카 지역(아테네 근처)과의 개인적인 관계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결함이 있다. 마이어 레인홀드와 장-미셸 로다즈는 각각의 저서에서 이 이론을 거부한다.[10][8] 프란슨은 루키우스를 수사학자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식별하여 루키우스가 아폴로도로스가 그랬던 것처럼 십 대 옥타비우스의 스승이었으며, 이것이 마르쿠스와 훗날 황제가 되는 옥타비우스가 서로 만나 친구가 된 방식을 설명한다고 추측했다. 라인홀드는 이 이론을 거부했고,[17] 조나단 어거스트 바이처트와 루돌프 다니엘도 마찬가지였다.[18]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색인에서 루키우스를 언급하지만,[9] 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10]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마르쿠스의 활동 당시 로마에서 알려지지 않았고, 심지어 아들이 명성을 얻기 전에 루키우스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0]
로다즈는 플리니우스가 마르쿠스를 "사치보다는 시골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언급했지만, 이것이 키케로가 이 표현으로 묘사되었을 때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언급한다.[16]
엘레인 팬텀은 루키우스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마르쿠스의 가문이 천한 출신이라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가 천한 직업을 가졌다는 구체적인 비난은 그에게 제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다른 훨씬 더 명망 있는 지위의 사람들이 로마에서 그러한 비난에 직면했기 때문에 이것을 이상하게 여겼다.[22] 로다즈는 아그리파가 전반적으로 아우구스투스의 다른 측근들보다 동시대 적들에게 덜 비방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아버지가 너무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19]
2. 1. 가문의 기원과 사회적 지위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의 가문은 이탈리아 시골 출신으로, 평민 계급의 낮은 신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판테온 정면에 새겨진 비문을 보면, "M[arcus] Agrippa L[ucii] f[ilius] co[n]s[ul] tertium fecit"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루키우스의 아들 마르쿠스 아그리파가 세 번째 집정관으로서 [이 건물을] 지었다"라는 뜻이다.[22]
대 세네카는 마르쿠스 아그리파가 아버지의 낮은 신분 때문에 종종 자신의 이름에서 "빕사니우스"를 생략했다고 언급하며 루키우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비록 많은 현대 역사가들은 세네카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마르쿠스가 단순히 당시 흔했던 노멘 생략 경향을 따랐다고 믿지만, 세네카의 주장은 부정적인 선전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2] 소 세네카는 루키우스를 크세노폰의 아버지 크릴루스와 플라톤의 아버지 아리스토와 비교하며, 아들들의 업적 때문에 영원히 기억된다고 하였다. 세네카는 심지어 마르쿠스의 성공 이후에도 루키우스가 여전히 잊혀진 존재로 남아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다.[4][5]
몇몇 역사가들은 루키우스를 대 세네카가 페르가몬의 아폴로도로스의 제자로 언급한 웅변가 빕사니우스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7] 그러나 이 이론은 폼포니우스의 코그노멘(cognomen)이 세습된 것이 아니라 아티카 지역(아테네 근처)과의 개인적인 관계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결함이 있다. 마이어 레인홀드와 장-미셸 로다즈는 각각의 저서에서 이 이론을 거부한다.[10][8]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색인에서 루키우스를 언급하지만,[9] 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10]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마르쿠스의 활동 당시 로마에서 알려지지 않았고, 심지어 아들이 명성을 얻기 전에 루키우스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0]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기원전 87년 사회 전쟁 종결 이후 시민권을 얻은 최초의 로마 시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비문에 루키우스 자신의 이름만 포함되고 루키우스 아버지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1] 그는 또한 루키우스가 에쿠이테스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문제에 대한 확실성은 없다고 말한다.[12] 라인홀드는 그가 기사 계급의 일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명문에 마르쿠스 할아버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사실을 근거로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다는 로다즈의 의견에 동의한다.[13] 다른 많은 이탈리아인들처럼 루키우스는 전쟁의 종결이 가져온 사회적 이동성의 기회를 이용하여 성인이 되어 로마로 이주했을 것이다.[10]
프랜시스 케언스는 고대 작가들이 아그리파의 훌륭하지 않은 조상에 대해 종종 비웃는 말을 했지만, 그가 어린 시절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카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후일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가까이 지내며 교육을 공유할 수 있었다면, 어느 정도의 재산을 가진 집안 출신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또한 아그리파가 카에킬리아 아티카와 결혼한 것은 루키우스가 비슷한 배경, 즉 기사 계급의 세금 징수원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추측한다.[14] 가이우스 스턴 역시 루키우스가 부유했다고 믿는다.[15]
엘레인 팬텀은 루키우스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마르쿠스의 가문이 천한 출신이라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가 천한 직업을 가졌다는 구체적인 비난은 그에게 제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22]
2. 2. 로마로의 이주
루키우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아들 마르쿠스를 기리는 비문에 그의 혈통이 나타나는 것뿐이다. 예를 들어 로마의 판테온에는 "M·AGRIPPA·L·F·COS·TERTIVM·FECIT"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M[arcus] Agrippa L[ucii] f[ilius] co[n]s[ul] tertium fecit", 즉 "마르쿠스 아그리파, 루키우스의 아들, 세 번째 집정관으로 [이 건물을] 지었다"는 뜻이다.[22] 판테온 정면 비문에 "L."로 축약된 루키우스의 이름은 "Lucii filius"(루키우스의 아들)라는 구절의 일부로 나타나며, "nepos"(손자)에 해당하는 "n."의 축약이 없는 것은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11][13]대 세네카는 마르쿠스가 아버지의 낮은 신분 때문에 종종 자신의 이름에서 노멘(nomen) "빕사니우스"를 생략했다고 언급하면서 루키우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소 세네카는 루키우스를 크릴루스와 아리스토와 비교하는데, 이들은 아들들(각각 크세노폰과 플라톤)의 업적 때문에 영원히 기억되는 인물들이다.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색인에서 루키우스를 언급하지만,[9] 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10]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의 가문은 아마도 이탈리아 시골 출신으로, 평민 계급의 낮은 출신이었을 것이다. 다른 많은 이탈리아인들처럼 루키우스는 사회 전쟁이 끝난 후 주어진 사회적 이동성의 기회를 이용하여 성인이 되어 로마로 이주했을 것이다.[10]
3. 경력 및 활동
루키우스 빕사니우스는 이탈리아 시골 출신의 평민 가문 출신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87년 사회 전쟁 이후 시민권을 얻은 최초의 로마 시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1] 많은 역사가들은 그가 기사 계급이었을 것으로 추측하지만, 확실하지 않다.[12] 라인홀드는 그가 기사 계급이 아니라고 보았지만,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다는 로다즈의 의견에는 동의한다.[13] 다른 많은 이탈리아인들처럼 루키우스는 사회적 이동의 기회를 이용하여 로마로 이주했을 것으로 보인다.[10]
프랜시스 케언스는 루키우스가 어린 시절 옥타비우스(훗날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교육을 함께 받을 정도였으니, 어느 정도 재산을 가진 집안 출신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또한 아그리파와 카에킬리아 아티카의 결혼은 루키우스 역시 기사 계급 출신이었음을 보여준다고 추측한다.[14] 가이우스 스턴 역시 루키우스가 부유했다고 믿는다.[15] 플리니우스가 마르쿠스를 "사치보다는 시골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언급했지만, 이것이 키케로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로다즈는 언급한다.[16]
프란슨은 루키우스를 수사학자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했지만, 라인홀드, 조나단 어거스트 바이처트, 루돌프 다니엘은 이 이론을 거부했다.[17][18]
엘레인 팬텀은 루키우스가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가 천한 직업을 가졌다는 비난을 받지 않은 점을 이상하게 여겼다.[22] 로다즈는 아그리파가 다른 아우구스투스의 측근들보다 비방을 덜 받은 이유가 그의 아버지가 너무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19]
3. 1. 알려지지 않은 생애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의 가문은 아마도 이탈리아 시골 출신으로, 평민 계급의 낮은 출신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기원전 87년 사회 전쟁 종결 이후 시민권을 얻은 최초의 로마 시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아들의 혈통에 루키우스 자신의 이름만 포함되고 루키우스 아버지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11] 그는 또한 루키우스가 많은 역사가들이 추측한 것처럼 ''에쿠이테스''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문제에 대한 확실성은 없다고 말한다.[12] 라인홀드는 그가 기사 계급의 일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명문에 마르쿠스 할아버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사실을 근거로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다는 로다즈의 의견에 동의한다.[13] 다른 많은 이탈리아인들처럼 루키우스는 전쟁의 종결이 가져온 사회적 이동성의 기회를 이용하여 성인이 되어 로마로 이주했을 것이다.[10]프랜시스 케언스는 고대 작가들이 아그리파의 훌륭하지 않은 조상에 대해 종종 비웃는 말을 했지만, 그가 어린 시절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카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후일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그렇게 가까이 지내며 교육을 공유할 수 있었다면, 어느 정도의 재산을 가진 집안 출신이 아니었을 리는 없다고 언급한다. 그는 또한 아그리파가 카에킬리아 아티카와 결혼한 것은 루키우스가 비슷한 배경, 즉 기사 계급의 세금 징수원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추측한다.[14] 가이우스 스턴 역시 루키우스가 부유했다고 믿는다.[15] 로다즈는 플리니우스가 마르쿠스를 "사치보다는 시골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언급했지만, 이것이 키케로가 이 표현으로 묘사되었을 때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언급한다.[16]
프란슨은 루키우스를 수사학자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식별하여 루키우스가 아폴로도로스가 그랬던 것처럼 십 대 옥타비우스의 스승이었으며, 이것이 마르쿠스와 미래 황제가 서로 만나 친구가 된 방식을 설명한다고 추측했다. 라인홀드는 이 이론을 거부했고,[17] 조나단 어거스트 바이처트와 루돌프 다니엘도 마찬가지였다.[18]
엘레인 팬텀은 루키우스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마르쿠스의 가문이 천한 출신이라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가 천한 직업을 가졌다는 구체적인 비난은 그에게 제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다른 훨씬 더 명망 있는 지위의 사람들이 로마에서 그러한 비난에 직면했기 때문에 이것을 이상하게 여겼다.[22] 로다즈는 아그리파가 전반적으로 아우구스투스의 다른 측근들보다 동시대 적들에게 덜 비방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아버지가 너무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19]
4. 가족 관계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의 가문은 이탈리아 시골 출신으로, 평민 계급의 낮은 신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기원전 87년 사회 전쟁 종결 이후 시민권을 얻은 최초의 로마 시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아들 마르쿠스 아그리파의 혈통에 루키우스 자신의 이름만 포함되고 루키우스 아버지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1]
로마의 판테온에는 "M[arcus] Agrippa L[ucii] f[ilius] co[n]s[ul] tertium fecit"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마르쿠스 아그리파, 루키우스의 아들, 세 번째 집정관으로 [이 건물을] 지었다"는 뜻이다.[22]
대 세네카는 마르쿠스가 아버지의 낮은 신분 때문에 종종 자신의 이름에서 노멘(nomen) "빕사니우스"를 생략했다고 언급하면서 루키우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소 세네카는 루키우스를 크릴루스와 아리스토와 비교하는데, 그들은 아들들의 업적 때문에 영원히 기억되는 크세노폰과 플라톤의 아버지들이다.[4][5]
일부 역사가들은 루키우스를 대 세네카가 페르가몬의 아폴로도로스의 제자로 언급한 웅변가 빕사니우스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했지만,[7] 이 이론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0][8]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색인에서 루키우스를 언급했지만,[9] 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10]
4. 1. 자녀
루키우스는 최소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잘 알려진 마르쿠스 외에도, 폴라라는 딸과 루키우스라고 불리는 마르쿠스보다 나이가 많은 아들이 있었다.[20] 마르쿠스는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율리아와의 사이에서 얻은 둘째 아들의 이름을 루키우스 카이사르라고 지었는데, 이는 그의 외할아버지의 이름을 땄을 것으로 보인다.[21] 마르쿠스의 두 번째 결혼을 통해 루키우스는 로마 황제 칼리굴라와 황후 아그리피나의 증조부가 되었으며, 황제 네로의 증외증조부가 되었다.4. 2. 후손
루키우스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 결혼하여 최소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마르쿠스 외에, 폴라라는 별명의 딸과, 마르쿠스보다 나이가 많아 종종 루키우스라고 불리는 또 다른 아들이 있었다.[20] 마르쿠스는 두 번째 부인인 율리아와의 사이에서 얻은 둘째 아들의 이름을 루키우스 카이사르라고 지었는데, 이는 아마도 그의 외조부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보인다.[21] 마르쿠스의 두 번째 결혼을 통해 루키우스는 로마 황제 칼리굴라와 황후 아그리피나의 증조부였으며, 황제 네로의 증증조부였다.5. 평가 및 의의
루키우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아들 마르쿠스를 기리는 비문에 그의 혈통이 나타나는 것뿐이다. 예를 들어 로마의 판테온에는 "M·AGRIPPA·L·F·COS·TERTIVM·FECIT"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M[arcus] Agrippa L[ucii] f[ilius] co[n]s[ul] tertium fecit", 즉 "마르쿠스 아그리파, 루키우스의 아들, 세 번째 집정관으로 [이 건물을] 지었다"는 뜻이다.[22] 판테온 정면의 비문에는 "L."로 축약된 루키우스의 이름이 "Lucii filius"(루키우스의 아들)라는 구절의 일부로 나타나며, "nepos"(손자)에 해당하는 "n."의 축약이 없는 것은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11][13]
대 세네카는 마르쿠스가 아버지의 낮은 신분 때문에 종종 자신의 이름에서 노멘(nomen) "빕사니우스"를 생략했다고 언급하면서 루키우스를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현대 역사가들은 세네카의 주장이 진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고 보지만, 세네카의 주장은 부정적인 선전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2]
소 세네카는 루키우스를 크릴루스와 아리스토와 비교하는데, 그들은 아들들의 업적 때문에 영원히 기억되는 크세노폰과 플라톤의 아버지들이다. 그는 아들로부터 혜택을 받았지만 아들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의 예시로 루키우스를 언급한다. 세네카는 심지어 마르쿠스의 성공 이후에도 루키우스가 여전히 잊혀진 존재로 남아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다.[4][5] 텍스트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세네카는 아그리파의 아버지가 루키우스라는 이름이었다는 것조차 몰랐을 가능성도 있다.[6]
과거 페테르 슈라이너 프란센과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루키우스를 대 세네카가 페르가몬의 아폴로도로스의 제자로 언급한 웅변가 빕사니우스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식별하려 했다.[7] 그러나 마이어 레인홀드와 장-미셸 로다즈는 이 이론을 거부한다.[10][8]
카시우스 디오는 그의 색인에서 루키우스를 언급하지만,[9] 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10]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마르쿠스의 활동 당시 로마에서 알려지지 않았고, 심지어 아들이 명성을 얻기 전에 루키우스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10]
루키우스 빕사니우스의 가문은 아마도 이탈리아 시골 출신으로, 평민 계급의 낮은 출신이었을 것이다. 로다즈는 루키우스가 기원전 87년 사회 전쟁 종결 이후 시민권을 얻은 최초의 로마 시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아들 마르쿠스의 혈통에 루키우스 자신의 이름만 포함되고 루키우스 아버지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1] 그는 또한 루키우스가 ''에쿠이테스''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고 말한다.[12] 라인홀드는 루키우스가 기사 계급의 일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명문에 마르쿠스 할아버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사실을 근거로 루키우스의 아버지가 시민이 아니었다는 로다즈의 의견에는 동의한다.[13] 다른 많은 이탈리아인들처럼 루키우스는 전쟁이 끝난 후 사회적 이동의 기회를 이용하여 성인이 되어 로마로 이주했을 것이다.[10]
프랜시스 케언스는 고대 작가들이 아그리파의 훌륭하지 않은 조상에 대해 종종 비웃는 말을 했지만, 어느 정도의 재산을 가진 집안 출신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아그리파가 카에킬리아 아티카와 결혼한 것은 루키우스가 비슷한 배경, 즉 기사 계급의 세금 징수원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추측한다.[14] 가이우스 스턴 역시 루키우스가 부유했다고 믿는다.[15]
프란슨은 루키우스를 수사학자 아티쿠스와 동일 인물로 보았고, 루키우스가 아폴로도로스처럼 십 대 옥타비우스의 스승이었으며, 이것이 마르쿠스와 미래 황제가 서로 만나 친구가 된 방식을 설명한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라인홀드는 이 이론을 거부했고,[17] 조나단 어거스트 바이처트와 루돌프 다니엘도 마찬가지였다.[18]
엘레인 팬텀은 루키우스가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마르쿠스의 가문이 천한 출신이라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가 천한 직업을 가졌다는 구체적인 비난은 그에게 제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다른 훨씬 더 명망 있는 지위의 사람들이 로마에서 그러한 비난에 직면했기 때문에 이것을 이상하게 여겼다.[22] 로다즈는 아그리파가 전반적으로 아우구스투스의 다른 측근들보다 동시대 적들에게 덜 비방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아버지가 너무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19]
참조
[1]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2]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3]
서적
L. Annaeus Seneca On Benefits. Addressed to Aebutius Liberalis
George Bell & sons
[4]
Citation
De Beneficiis
https://www.loebclas[...]
[5]
문서
https://repositorio.[...]
[6]
서적
M. Vipsanius Agrippa Eine Monographie : Inaugural-Dissertation
M. und H. Marcus
[7]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J. Murray
[8]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9]
문서
Dio, Index 48 and 53
[10]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11]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12]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13]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14]
서적
Roman Lyric: Collected Papers on Catullus and Horace
Walter de Gruyter
[15]
서적
Women, Children, and Senators on the Ara Pacis Augustae A Study of Augustus' Vision of a New World Order in 13 BC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6]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17]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18]
서적
M. Vipsanius Agrippa Eine Monographie : Inaugural-Dissertation
M. und H. Marcus
[19]
서적
Marcus Agrippa [monographie]
https://www.persee.f[...]
Bibliothèque des Écoles françaises d'Athènes et de Rome
[20]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21]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22]
서적
Julia Augusti
Taylor & Francis
[23]
서적
Marcus Agrippa: A Biography
W.F. Humphre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